본문 바로가기
어원 역사

북한군 계급 체계, 계급장, 계급도

by 날치자리94 2024. 3. 1.

목차

    북한군 계급 체계, 계급장, 계급도

    북한군은 군사칭호를 사용하여 계급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1952년 12월 3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 제정된 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정착되었습니다.

    북한에서는 여자도 군복무를 하고 여자는 7년 남자는 13년의 군복무기간이 있습니다.

    원수급, 장령급, 그리고 군관급으로 분류되는 북한군 계급 체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수급 (Supreme Commander Rank)
      • 대원수 (대元帥)
      • 원수 (元帥)
      • 차수 (차元帥)
    2. 장령급 (General Rank)
      • 대장 (大將)
      • 상장 (上將)
      • 중장 (中將)
      • 소장 (少將)
    3. 군관급 (Senior Officer Rank)
      • 좌급군관 (좌翼軍官)
        • 대좌 (大佐)
        • 상좌 (上佐)
        • 중좌 (中佐)
        • 소좌 (少佐)
      • 위급군관 (右翼軍官)
        • 대위 (大尉)
        • 상위 (上尉)
        • 중위 (中尉)
        • 소위 (少尉)

    또한, 하전사의 경우 특무상사, 상사, 중사, 하사로 구분되는 사관과 상등병, 전사로 구분되는 일반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반병의 경우 1998년 4월에 계급체계가 세분화되어 상급병사, 중급병사, 초급병사, 전사로 세분화되었습니다.

    '원수' 계급은 6.25전쟁 당시 최고인민회의 결정에 따라 김일성 전주석이 최초로 부여받은 계급입니다.

    북한의 군사칭호와 계급 구조는 단순한 군사적인 면모를 넘어서서 북한의 군사 및 정치적인 복잡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요약 키워드: 북한군, 계급 구조, 군사칭호, 원수급, 장령급, 군관급, 하전사, 일반병, 김일성, 6.25전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