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기준법3

연차 발생기준 연차 발생기준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연차 유급휴가는 근로기준법에 의해 규정되어 있습니다. 연차 유급휴가는 근로자의 휴식과 재충전을 위해 제공되며, 이를 통해 근로자는 생산성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와 제61조는 연차 유급휴가의 발생과 사용, 그리고 대체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연차 발생기준유급휴가 연차 발생 기준은 근로자의 근속 기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아래에서는 1년 미만 근로자, 1년 이상 근로자, 그리고 3년 이상 근로자에 대한 연차 발생 기준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년 미만 근로자의 연차입사 첫 해의 근로자는 근무한 기간에 따라 매달 하루씩 연차를 부여받습니다. 최대 11일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한 달 동안 80% 이상 출근해야 .. 2025. 3. 17.
6.25 전쟁 참전국가 육이오가 공휴일이 아닌 이유,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과 근로기준법 법정휴일 근로자의 날 6.25 전쟁 참전국가 육이오가 공휴일이 아닌 이유,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과 근로기준법 법정휴일 근로자의 날 1. 관공서 공휴일 규정: 근로기준법 제55조: 11가지 법정휴일 규정 (신정, 삼일절, 5월 5일, 어린이날, 현충일, 광복절, 국경일, 추석, 한글날, 태종대왕 생일, 지구의 날)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정부기관, 공공단체, 지방자치단체 공휴일 규정 (근로기준법 휴일 + 보훈처장관이 정하는 보훈관련 기념일) 보훈처장관이 정하는 보훈관련 기념일: 참전경비자들이나 군인들을 위한 기념일 (6.25전쟁참전경비자의 날, 베트남참전경비자의 날) 2. 근로자의 날: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매년 5월 1일 근로자의 날 규정 근로자의 날 근무: 근로자의 날 근무 시 휴일근로 가산수당 지급.. 2024. 4. 16.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계산. 근기법 제 55조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계산. 근기법 제 55조 209시간 계산법 그런데 제목에 209시간 계산법이라고 적어놨죠? 왜 209시간일까요? 단기아르바이트 같은 경우에는 1달 미만의 아르바이트겠지만 장기로 아르바이트를 제공하게 되면 보통 급여 계산을 월단위로 하게 됩니다. 사실 뭐 이건 아르바이트 하시는 분들하곤 별 관계가 없습니다. 주휴수당 연관 검색어로 209시간이 떠 있길래 구색 맞추는 내용이긴해요^^; 209시간을 따지는 것은 상시 근로자들의 통상 월임금을 계산하기 위한 내용이예요. 왜 209시간이 되었냐면... 계산식은 이래요 (40+8)*(365/7)/12 = 209시간 이 되는데요. 40은 근로기준법상 법정근로시간이예요. 그리고 8은 주휴수당을 받는 근로시간 즉, 일요일이 되는셈이죠. 365는.. 2023. 8. 18.